개인적견해

비트코인, 일론 머스크, 그리고 테슬라..

떡상이형 2021. 2. 23. 23:06
반응형

안녕하세요. 떡상이형입니다.

 

일단, 이 포스팅은 진심으로 개인적인 견해임으로 

 

'그냥 이런 견해를 갖고있는 사람도 있구나'

 

정도로 생각하시고, 혹시나 불편하실듯 하시면 바로 백스페이스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투자를 조장하는 포스팅도 아니고, 단순한 개인 사견입니다.

※ 조금 회의론 적인 포스팅 입니다.

 

 

 

일단, 일이 한동안 바빴던터라 포스팅을 하지못했던 점 죄송합니다.

 

보다 나은 정보를 드릴 수 있게끔 노력하겠습니다.

 

 

 

 

우선, 요즘 최근 너무 핫했던 일론 머스크의 핫 트윗은 여러분들께서 너무 잘 아실거라 보여집니다.

 

일론머스크 GME 사태이후 'Bitcoin' 해시태그를 걸고 나서 난리가 났죠.

 

그 이후로 '친 암호화폐'적인 내용들을 쏟아내기 시작합니다.

 

원래 그는 '비트코인이 회의적' 신호를 보냈었죠.

 

 

 

계속해서 비트코인은 떡상했습니다.

 

시장의 경고를 무시하고 역대 최고치를 찍게 됩니다.

 

이번에는 기관이 들어왔기때문에 다를것이다 

 

사상 최고치를 단숨에 몰아 칩니다.

 

 

<테슬라 CEO 일론머스크>

 

일론머스크는 지속적으로 불난 비트코인에 기름을 부어줍니다.

 

테슬라를 통해 1조 5천억원 어치의 비트코인을 샀다고 했고

 

테슬라를 비트코인으로 살 수 있다고 합니다.

 

 

 

그는 비트코인 투자자들의 희망같이 보였습니다.

 

 

<테슬라 CEO 일론머스크>

 

 

사실 어느순간부터 일론머스크의 행동은 마치 트럼프의 행동과 닮았다고 보여졌습니다.

 

그의 말 한마디는 어느순간 시장에 파문을 불러일으켰고,

 

말의 무게를 아는지 모르는지 거침없이 본인의 생각을 써내려갔습니다.

 

<테슬라 비트코인 연동 출처 : thestreet.com> 

 

이제 사람들의 머리속에 테슬라의 인식은 비트코인으로 연동되어졌습니다.

 

이를 떨어트리려고 해도 쉽지 않을겁니다.

 

테슬라=비트코인=일론머스크

 

인간의 인식은 생각보다 무섭습니다.

 

왜냐면 최초의 전기차 기업의 최초의 비트코인 결제와 투자였기 때문입니다.

 

일론머스크가 투자한거라구요. 일론 머스크가. 

 

스티브잡스 이후 세계에서 제일 영향력 있는 CEO 일론머스크가.

 

 

<스페이스 X 일론 머스크>

 

 

테슬라 주주분들이 과연 그런 비트코인의 투자하는 일론 머스크를 기대하고 투자했을까요?

 

물론 일론머스크라는 CEO를 믿고 투자하신 분들도 계시겠지만,

 

일론머스크가 그렸던 큰 그림의 테슬라를 보았을것 입니다.

 

스페이스 X, 화성, 뇌로 하는 게임, 역대급 Ai 등등 그는 PER를 무색하게 만든 최초의 인간이니깐요.

 

 

 

저는 일론 머스크를 좋아합니다.

 

다만, 개인적으로 비트코인을 매매하는것은 상관할 바가 전혀 아니지만,

 

본인의 영향력을 무시하고 이를 공개적으로 진행했던 일에서는 실망감을 표합니다.

 

 

 

테슬라가 비트코인으로 결제가 가능하게 되면,

 

이는 국가가 발행하는 화폐에 반하는 행동이 됩니다.

 

아니 다른 기업이 할땐 가만히 있다가 왜 테슬라야?

 

테슬라가 갖고 있는 의미를 아직 모르실까요? 일론머스크가 세계 1위 부호로 변하게 만든 테슬라.

 

S&P지수에 당당히 편입되어있는 테슬라.

 

전기차 = 테슬라

 

 

 

비트코인은 실제 세금을 내지 않기때문에 세금을 걷을 수도 없거니와

 

현재 암암리에 단순히 금과 같은 단순한 '자산' 정도로 여겼던

 

비트코인이 화제 집중이 되면서 디지털 화폐로 인지하게 되고,

 

이를 이제 막 바뀐 미국 정부 입장에서 보면

 

"뭐야 그런것도 있어? 웃기네"

 

정도로 넘기다가

 

일론머스크로 인해 순식간에 변해버린 위상과 그에 따른 투기적인 성향을 보이고 

 

그로 인해 언론에서 너도나도 비트코인에 대해 얘기하고 이때문에 마켓에서 영향을 받는다면?

 

그리고 더 나아가 미국 '화폐'인 '달러'를 조금이라도 위협한다는 느낌이 든다면?

 

미국 정부가 "뭐야 그런것도 있어? 웃기네 전혀 위협되지 않아" 이럴까요? 

 

그것도 CBDC도 아닌 일반 회사에서 발행하는 USDT 테더를 갖고 거래를 한다..

 

 

예전에 올린 포스팅을 잘 보시면 

 

아직 끝나지않은 비트코인의 위협 중 테더, 마운트곡스 그리고 옐런 이 있습니다.

 

 

옐런이 드디어 비트코인을 눈엣가시로 여기고 지명하기 시작했습니다.

 

그것도 2일 연속으로 발언했죠.

 

참고로 제롬파월 FED의장은 정치를 잘하는 사람이예요.

 

오늘 내일 미국 상하원 청문회에서 제롬파월 의장 연설이 있는것쯤은 알고 계시죠?

 

 

 

이번에 금리 인상에 대해 말조차 안할것이라 생각합니다. 

 

인플레이션, 미국 장기채 금리가 급상하는것, 이런건 이미 다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그리고 인플레이션이 올라가면서 명목금리가 올라가줘야 기준금리를 올리지 않아도 금리를 올리게 될 수 있어요.

 

시그널을 주겠죠. 아직은 시장 경기가 회복되지 않았음으로 기존을 유지한다. (유동성 공급)

 

아마 그 이상의 시그널을 줄 수도 있습니다. 현재 마켓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으니깐요.(나스닥 하락)

 

그리고 재닛옐런이 말했던데로 비트코인에 대한 질의가 나오면 명확하게 한마디를 던질 수도 있습니다.

 

 

 

 

대게 탄탄한 기반으로 쌓고 올린게 아닌 갑작스러운 급등은 반드시 조정을 거치게 됩니다.

 

그리고 그 조정이 어제 시작되었습니다.

 

 

 

 

비트코인 투자자 혹은 예비 투자자 분들께서는 

 

제가 예전에 포스팅 썼던 글 중에 비트코인 투자에 유념하시라 하며 몇가지 포스팅을 작성한게 있습니다.

 

필히 읽어보시기 바라며,

 

이슈가 끝나기전에는 들어가지 않으시는걸 강추 드립니다.

 

 

 

 

참고로 테더 이슈, 합의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 다음 포스팅에 작성하겠습니다.

 

 

 

 

 

※ 모든 투자는 투자자 본인에게 책임이 있으며, 투자에 대한 결과와 손익은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본 포스팅은 전적으로 제 주관적인 의견이며, 투자 권장, 권유를 하지 않음을 반드시 아시기 바랍니다.

 

항상 투자에 유의해 주시기 바라며 관련 글을 투자의 근거로 사용하지 않길 바랍니다.

 

참고로, 저도 단순 개인 투자자로써 의견 담은 포스팅을 하는것이며,

지금처럼 제 주관적인 생각을 담은 글은 오로지 블로그를 통해서만 작성 예정입니다. 

 



출처: https://ohmygod.tistory.com/11?category=998362 [떡상이형의 떡상경제 투자]

 

 

 

ohmygod.tistory.com/3

 

충격! 비트코인 떨어지는 이유. 떡락 하락 원인 이유. 비트코인 3년차가 말해준다. | 떡상이형

안녕하세요. 떡상이형입니다. 비트코인, 암호화폐, 알트코인, 가상화폐의 충격적인 떡락. 이대로 2018년 악몽이 오는걸까요? 언론은 충격이라는 얘기와 함께 놀리기라도 하듯 비트코인에 대한 하

ohmygod.tistory.com

 

ohmygod.tistory.com/2

 

테더(USDT)이슈. 테더 의혹 상황. 이제 시작이야 <완벽 총 정리편> | 떡상이형

혹시 테더 이슈가 끝났다고 생각하세요? 사골곰탕이냐고 언제까지 우려먹냐 하시는분들. 이제 시작입니다. 비트코인 투자자라면 코린이 중린이 고수 상관없이 반드시 봐야하는 불편한 진실. "

ohmygod.tistory.com

 

ohmygod.tistory.com/5

 

마운트곡스(마곡)배상 끝나지 않았다. 마곡 해킹 상황 <완벽 총 정리> | 떡상이형

혹시 마운트곡스(마곡) 이슈가 끝났다고 생각하세요? 사골곰탕이냐고 언제까지 우려먹냐 하시는분들. 자 떡상이형이 아주 쉽마운트곡스 상황 마곡 이슈 상황 마곡 상황 마곡 진행상황 게 설명

ohmygod.tistory.com

 

 

 

성경에는 이런말이 있습니다.

 

"칼을 쓰는자 칼로 망한다"

 

항상 칼을 갖고 있다면 조심히 써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